📘 인공지능 시대, 우리 아이에게 필요한 건 '지식'이 아니라 '태도'입니다
요즘 아이들은 무엇을 배우고, 어떤 능력을 키워야 할까요?
그리고 부모인 우리는 어떤 모습을 보여줘야 할까요?
AI, 특히 Chat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이 우리의 삶 깊숙이 들어오면서, 교육과 진로에 대한 패러다임도 빠르게 바뀌고 있습니다. 이 글은 김민식 교수님의 강연을 바탕으로, AI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에게 진짜 필요한 능력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 1. 이제는 지식이 아니라 '태도'의 시대
과거에는 머릿속에 많은 지식을 집어넣은 사람이 성공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인공지능이 인간보다 훨씬 방대한 정보를 빠르게 습득하고 활용합니다.
기술도 마찬가지입니다. 기계를 조작하거나 물리적인 일을 하는 기술도, 로봇이 더 잘하는 시대입니다.
그렇다면 인간에게 남은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태도입니다.
- 경청하는 자세
- 질문하는 능력
- 끈기 있게 해내는 습관
이 모든 것이 태도에서 비롯됩니다.
지식과 기술은 AI가 따라잡을 수 있지만, 태도만큼은 인간만이 지닐 수 있는 고유한 능력입니다.
📌 2. 참을성을 잃어가는 아이들, 그리고 우리
지금은 기다림 없는 시대입니다.
배고프면 바로 앱을 켜서 배달음식을 시키고, 궁금하면 검색창에 바로 물어보죠.
아이들뿐 아니라 우리 어른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참을성은 점점 사라져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참을성은 미래를 살아가기 위한 중요한 자산입니다.
느리지만 꾸준히 배우는 습관이 결국에는 깊이 있는 사람을 만듭니다.
아이들이 그걸 배우기 위해서는, 부모가 먼저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치킨이 먹고 싶다는 아이에게 외할머니는 정성껏 백숙을 끓여줍니다.
그 기다림과 손맛이 결국은 아이의 기억에 남는 것이죠."
📌 3. 미래 직업을 준비하는 가장 좋은 방법
많은 부모가 묻습니다.
“내 아이가 20~30년 후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직업은 뭘까요?”
사실 그 전에 생각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부모인 우리도 60세 이후까지 일해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아이들만 준비할 게 아니라, 우리도 배워야 합니다.
- 주말에 단순히 휴식만 취하지 말고, 책을 읽고 자격증 공부를 하세요.
- 아이에게 공부하라고 하기 전에, 공부하는 부모가 되어 주세요.
- 즐기면서 지속할 수 있는 취미와 일을 찾으세요. 그것이 곧 미래 대비입니다.
📌 4. 인공지능은 '즐거움'을 모른다
알파고가 이세돌을 이겼던 순간, 바둑 전공자들은 멘붕에 빠졌습니다.
하지만 한 학생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AI가 아무리 바둑을 잘 둬도, 바둑을 두는 즐거움은 모를 거예요."
이 말처럼, 앞으로 AI가 인간의 많은 일을 대신할 수 있겠지만
‘즐거움’과 ‘의미’를 느끼며 하는 일은 여전히 인간만의 영역입니다.
아이든 어른이든, 내가 좋아서 하는 일을 찾고 거기서 의미를 느낀다면
그건 어떤 시대에도 흔들리지 않는 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김민식 교수님은 말합니다.
"좋은 태도는 하루하루 쌓아온 생활 습관에서 비롯됩니다."
운동하는 습관, 책을 읽는 습관, 잘 듣는 습관…
이 모든 습관이 쌓여 ‘좋은 태도’를 만들고,
그 태도가 결국 아이를, 그리고 우리 자신을 지탱하는 힘이 됩니다.
📌 원본 영상 출처
유튜브 채널 [지식인사이드] - 김민식 교수님 강연
영상 링크: https://youtu.be/ek_yX-mKT7k?si=LWz-riQrpa7n3TDO